한국지적학회 발행기관 내 간행물
학회지 상세정보 | ||
---|---|---|
![]()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Diagnostic Anaysis of Basic Life Services in Rural Villages Using GIS 임승현(Lim, Seung Hyeon), 이근상(Lee, Geun Sang) pp.13~23 (12pages)
|
원문보기 |
한국어초록 농촌마을은 도심지에 비해 경제 및 문화수준을 비롯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정확히 분석하여 정책마련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먼저 농촌마을로부터 기초생활서비스 진단지표 시설까지의 접근시간을 기초로 퍼지함수를 이용하여 진단지표별 접근성 표준화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AHP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진단지표별 가중치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거점서비스, 읍면생활권서비스, 응급안전서비스 지표군을 구성하고 있는 진단지표별 접근성을 GIS를 통해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초생활서비스 진단지표별 표준화값과 가중치값을 활용하여 종합지수를 계산하였다. 마을수를 기준으로 한 서비스 수준은 1등급 및 2등급 이상의 마을수 비율이 각각 42.1%와 89.5%로 나타났으며, 마을인구를 기준으로 한 기초생활비스 수준은 각각 60.4%와 93.4%로서 전라북도 농촌마을의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료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별로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진단하여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목록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