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적학회 발행기관 내 간행물
학회지 상세정보 | ||
---|---|---|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봉수의 입지에 관한 연구 - 오해야항 봉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of Signal Fir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 Focus on the signal fire of Oheyahang - 이동화(Lee, Dong Hwa) pp.19~30 (12pages)
|
원문보기 | |
한국어초록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봉수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상황을 신속하게 중앙 및 주변에 신속히 알리기 위한 신호체계였다. 봉수에는 크게 경봉수, 내지봉수, 연변봉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연변봉수는 내지봉수나 경봉수와는 달리 신호전달의 목적 이외에도 적침에 대한 방어 및 후망 등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변봉수 중에서 오해야항 봉수대에 대해 문화재적 시 각으로 현대기술을 접목하여 GIS의 가시권분석을 통해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 다. 먼저 고문헌 및 관련논문에서 언급한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연변봉수에 대해 지형공간정보를 활 용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GIS분석기법의 가시권분석을 통하여 각 봉수대에서 주변으로의 조망영역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고문헌이나 고지도 상에서의 봉수위치에 대한 이견이 있는 오해야항 봉수를 대상 으로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망의 관점에서 오해야항 봉수의 적정위치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
목록보기 |